연구소 소개
About the Institute
설립 목적 및 배경
설립연도
2015년 9월 16일 설립
설립목적
‣ 중국과 동아시아 문제에 대한 종합적, 학제적 연구 및 교육
‣ 부산과 대한민국의 對중국 미래전략 제시
‣ 중국 및 동아시아 네트워크 구축
근 거
‣ 중국과 동아시아 문제에 대한 종합적, 학제적 연구 및 교육
‣ 부산과 대한민국의 對중국 미래전략 제시
배 경
‣ 동서대학교는 영남권에서 사회적 공공재 역할을 할 동아시아 연구기관 설립을 추진, 일본연구센터 설립(2003년)에 이어 중국연구센터 설립
※ 동서대 중국연구센터는 영남권의 중국 및 동아시아 연구의 대표적 연구기관으로 성장
- 2015년 9월 설립 이래, 동서대 중국연구센터는 영남권에서 중국 및 한중관계 연구를 주도
- 2019년 5월 동서대 동아시아연구원 설립 이후 산하 연구소로 재편. 이후 중국, 대만 등 중화권은 물론이고 일본 대학과 연구기관들과의 연구 교류를 통해 동아시아 평화와 협력을 위한 연구도 추진
주요 연혁
2015
9월 동서대 중국연구센터 설립
10월 한중일 동북아협력심포지움 개최(~현재, 연 1회 개최, 게이오대/상해사회과학원 공동주최)
2016
11월 부산-상하이 포럼 개최(~현재, 연 1회 개최, 동제대 중국전략연구원 공동 주최)
2017
9월-11월 동서중국 시민강좌 <중국 바로 알기, 현대중국과 한중관계>
12월 한중 동북아지역협력 심포지엄(~현재, 연 1회 개최, 길림대 동북아연구원 공동 주최)
2018
5월 웹진 <동서중국> 발간 시작(~현재, 연 2회)
9월 동서중국 시민강좌 <현대중국과 친해지기>
10월 특강 및 집담회 <동아시아 전통과 공공철학> (특강자: 김태창 동양포럼 주간)
2019
5월 동서대 동아시아연구원 설립 (동서대 중국연구센터와 일본연구센터가 산하 연구소로 재편)
5월 특강 <동아시아공동체의 길> (특강자: 백영서 연세대 명예교수)
10-12월 동서중국 시민강좌 <중국인은 누구인가>
12월 국내학술토론회 <동아시아 공공성 구현을 위한 동아시아 새로 읽기>
2020
9월 한국전쟁 60주년 학술대회 <전쟁과 동아시아민주주의 – 한중일 근현대전쟁과 민주주의 발전 비교>
12월 동아시아협력 총서 <한중 협력의 새로운 모색, 부산-상하이 협력>발간
2021
3월 국내학술토론회 <경계를 넘는 동아시아 서발턴>
10월 동아시아협력 총서<동북아 정세의 변화와 남북중 협력의 모색> 발간
12월 <동아시와 시민성을 향하여-부산형 민주시민교육의 모색과 전망>도서 발간
2022
3월 국내학술토론회 <중국의 서발턴과 시민성> 개최
4월 학술지 <동아시아와 시민>창간호 발간(연 2회, 민주시민교육원 나락한알과 공동발간)
9월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선정(3년+3년 6년)
2023
9월 한국연구재단 인문도시 지원사업 선정(3년)
10월 <동아시아의 서발턴 연구와 ‘손상’인문학> 콜로키움
10월 한국연구재단 후원 및 주관 동서대 인문주간 행사 진행
11월 <동아시아의 경제개발과 관문도시의 유랑인들> 국내학술대회
2024
2월 동서대학교 중국연구센터, 일본 간사이가쿠인대학 재해부흥제도연구소,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,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연합 국제학술대회 개최 <동아시아 서발턴/서발터니티와 손상인문학>
3월 동아시아 시민학 대학원 개설
조직도